과
YMCA
가 함께하는 대학생 해외봉사단
로그인
회원가입
라온아띠
프로그램
국내교육
국제자원활동
아시아 소식
모집
공지사항
모집안내
FAQ
Q&A
캠페인
350PPM 캠페인
End Poverty 캠페인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
자료실
국내훈련 보고서
국제자원활동 보고서
CI 및 모집 포스터
기타 관련 자료
단원 놀이터
아띠, 서로를 소개하다
아띠, 이야기 나누다
아띠, 시간을 공유하다
아띠, 사진을 기록하다
아띠, 마음맞아 모이다
아띠, 작업실을 열다
라온아띠
프로그램
국내교육
국제자원활동
아시아 소식
아시아 소식
All categories
All categories
뉴스
인도 정부의 무역원활화협정 승인거부와 한국 정부의 쌀시장 개방
99+
안녕하세요. 10기 인도팀 Neeta입니다. 지난주 스터디에서는 인도와 한국의 농산물 개방과 관련하여 두 정부의 서로 다른 입장에 대해 알수 있는 기사를 다루었는데요. 기사 내용을 간략히 하면.... 인도는 WTO의 무역원활협정(TFA) 승인을 거부하였는데 인도내의 식량 안보와 농업 정책을 지키기 위해서였습니다. 인도는 자국의 농민들로부터 최저가격을 보장하여 식량을 확보하고 그것을 싼 가격에 빈민들에게 되팔고 있는데 자국의 농업 정책과 식량 안보가 보장되지 않자 승인을 거부한 것입니다. 인도의 이러한 태도는 UN의 IFAD로부터 지지를 받았다고 합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쌀시장을 전면 개방한다는 소식이었는데요. 정부에서는 외국에서 들여오는 쌀에 높은 관세를 매기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이것은 끊임없이 상대 국가들과 논의를 해야 하고 현실적으로 농민들을 보호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농민들로부터 큰 반발을 사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Ramesh(규홍): 우리나라도 벼농사로 지정된 땅은 그린벨트 같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제도가 있다고 한다. 쌀 개방에 관해서는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리는데 정부에서 하고 있는 농업보호정책에도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Neeta(현정): WTO 협상이 한편으로 강대국들의 힘의 논리에 의해 지배되는 것 같아 안타깝기도 하다. 식량 안보를 지키는 것은 국민들 삶에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농산물이 하나씩 개방될 때 마다 우리는 점차 다른 나라에 의존하게 되고 결국 우리 농가가 힘을 잃는다면 우리 생활의 근간이 무너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인도가 자국 농민을 보호하고 농업 안정화를 위해 WTO협상을 거부한 것에 대해 대단히 용기 있는 행동이었다고 생각하고 지지한다. Lino(순걸): 식량도 언제부터인가 지켜야 하는 대상이 되었지만 자본의 논리에 묻혀가는 듯 하다. 국가는 다른 국가와의 이해관계를 따져가며 국가를 운영해야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우선은 국가를 형성하고 있는 국민과의 이해관계가 우선일 것이다. 국가에서 중요한 것이 국민과 주권이 아니라 자본과 다른 국가와의 관계인 것이 안타깝다. Sreunu(보람): 쌀 시장개방에 대하여 인도와 한국의 기사를 함께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뭔가 조금 다른 느낌이 들었다. 인도의 경우 쌀시장에 관해 security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반면 한국의 측면은 뭔가 쌀 시장을 지키는 것이 아닌 그냥 쌀을 사고 팔 개념으로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농민들이 반대해도 결국 쌀시장은 개방되겠지만, 중요한건 최소한의 틀이라도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모두가 공감했던 것은 아무리 세계화와 더불어 무역 시장이 개방되었다고 해도 최소한의 식량 안보와 농민들의 삶은 보장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다음 기사는 어떤 것이 올라올지 궁금하시지요?? 미리 알고 싶으시다면 스터디에 한번 놀러 오세요!!^^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연맹입니다! 언제나 열려있는 영어스터디에 함께해요^^ India's tough stand on WTO gets support from UN body The author has posted comments on this articlePTI | Aug 4, 2014, 02.52PM IST India decided last week not to ratify WTO's Trade Facilitation Agreement (TFA) Page 1 of 4 NEW DELHI: Supporting India's tough stand at WTO on the food security issue, UN body for development of agriculture IFAD on Monday said ensuring food for its people is more important than creating jobs in certain other nations. "Creating jobs for some other country, while people are still hungry, doesn't make sense... If I was in the position of feeding my own family or creating jobs for someone else, what would I do? What would you do?," 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e Development president Kanayo Nwanze said. "The bottom line is that every government has the 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it can feed its own people," he said while replying to a question whether he supports India's tough stand i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Echoing similar sentiments, IFAD's country director for India Nigel Brett said India has a big task to feed its people. "You have a population of 1.2 billion people. You have a mammoth task in your hand of feeding people...in this case government has to do everything what it can do to feed its population in the interest..." India decided last week not to ratify WTO's Trade Facilitation Agreement (TFA), which is dear to the developed world, without any concrete movement in finding a permanent solution to its public food stock-holding issue for food security purposes. It has asked WTO to amend the norms for calculating agri subsidies in order to procure foodgrains from farmers at minimum support price and sell that to poor at cheaper rates. The current WTO norms limit the value of food subsidies at 10 per cent of the total value of foodgrain production. However, the support is calculated at the prices that are over two decades old. India is asking for a change in the base year (1986-88) for calculating the food subsidies. It wants the change to a more current base year on account of various factors such as inflation and currency movements. There are apprehensions that once India completely implements its food security programme, it could breach the 10 per cent cap. Breach of the cap may lead to imposition of hefty penalties, if a member country drags India to the WTO. Nwanze is on a 5-day official visit to India to meet various various ministers including finance minister Arun Jaitley and rural development minister Nitin Gadkari, to discuss about how rural transformation and gender empowerment and how they are vital for reducing poverty. IFAD, a specialized agency of the United Nations, was established as an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 to finance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food production in the developing countries. http://timesofindia.indiatimes.com/India/Indias-tough-stand-on-WTO-gets-support-from-UN-body/articleshow/39616159.cms Korea to Fully Open Rice Market Next Year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fully open the rice market to imports. It will put an end to caps on rice imports in 2015 and instead manage imports through tariffs to protect domestic farmers. Korea has been facing rising pressure to open its rice market ahead of the expiry of a 20-year-old agreement on import quotas with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The only WTO member nations that have not opened their market to rice imports are Korea and the Philippines. The government has been in talks with the WTO over the issue and decided there was no alternative but to open up to imports of the staple grain. Even if it refused, it would have to increase the import quota two or three-fold. The mandatory import quota has grown by 20,000 tons every year and now accounts for nine percent (409,000 tons) of Korea's total annual consumption. An Agriculture Ministry official said, "The government's view is that opening the rice market and imposing tariffs on imports would have a smaller impact on domestic farmers than boosting the mandatory import quota." What the tariffs will be is unclear. The government will not talk about specific figures because it still has to negotiate the matter with the WTO. But experts believe a tariff of some 400 percent, or roughly four times the price of imported rice, would ensure imported rice is more expensive than locally-grown varieties. Fierce opposition is expected from farmers and other agricultural lobby groups. 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7/18/2014071801214.html
UN 반기문 사무총장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에 전쟁을 멈추고 대화를 할 것을 촉구하다
99+
7월 한 달동안 참여자들의 이런저런 사정으로 잠시 휴식기를 가지고 어제(31일) 오랜만에 모임을 가졌습니다. 그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이야기도 나누고 모임이 끝나고 처음으로 젊은 느낌의 술집에서 뒷풀이를 가졌습니다. 물론 공부도 했지요. 이번 모임의 주제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전쟁(이라지만 일방적인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공격)에 관한 기사를 읽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기사의 간략한 내용은 반기문 UN사무총장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방문해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쟁을 중단하고 대화를 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입니다. 기사에서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청소년들이 납치, 살해된 것 시작으로 양쪽의 군대가 서로 공격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인의 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해자들의 대부분이 어린이와 여성이며 10만명 이상의 의 피난민들이 발생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기문 사무총장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총리와 대통령을 만나 싸움을 중단하고 대화를 재개할 것을 전달하였습니다. 다음은 기사를 읽고 나눈 느낌입니다 순규 - 최근에 이 문제에 관해서 번역봉사를 하고 있는데 내가 무지했던 것같다. 많은 사람들이 피하를 보는 상황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열심히 생각 중인데 쉽지가 않다. 나와는 상관없다고 지내기에는 마음이 너무 아프다. 이스라엘만을 욕하기도 너무 복잡한 상황과 내가 아무것도 할 수 없음에 슬프다. Lino - 종교 이전에 인간이 먼저여야 한다. 폭력은 어떠한 이유에서건 정당화될 수 없다. 복잡한 국가끼리의 이해관계 사이에서 피해를 보는 것은 언제나 일반 민중들이라는 것이 안타깝고 속상하다. 니따 - 분명 이스라엘이 많은 잘못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만 그것에 대해 지적하거나 비난하는 국가들이 많이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무엇보다도 어린아이를 비롯한 노약자들이 피해를 입어 마음이 많이 아프다. 쁘리앙카 - 이 사태와 관련된 만평을 본 적이 있는데, 죄없는 아이들이 죗값을 치르는 것같아 마음이 아프다. 8월부터 다시 시작하는 모임의 문은 언제나 활짝 열려있습니다. 활동을 마치고 돌아올 11기와 이전에 다녀온 모든 기수 혹은 간사님들도 환영합니다. 놀러오세오. 목요일 7시 연맹입니다~ 다음은 기사 원문입니다. 공부합시다!! On visit to Israel and West Bank, Ban calls for end to current fighting, return to dialogue UN news center, 22 July 2014 – Secretary-General Ban Ki-moon today called on Israelis and Palestinians to stop the fighting that has been raging for the past two weeks and return to dialogue with the aim of addressing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cycles of violence that continue to plague them. “My message to Israelis and Palestinians is the same: Stop fighting. Start talking. And take on the root causes of the conflict, so we are not back to the same situation in another six months or a year,” Mr. Ban said in remarks to the press with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in Tel Aviv. “We must address these underlying issues – including mutual recognition, occupation, despair and the denial of dignity – so people do not feel they have to resort to violence a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grievances.” Mr. Ban, who is on a regional visit, arrived in Israel from Egypt, where he met earlier today with President Abdel Fattah Al Sisi andthanked him for his leadership role in the current efforts to establish a ceasefire in Gaza. His tour also included stops in Qatar and Kuwait and will also take him to Jordan and Saudi Arabia. Israeli-Palestinian violence flared in the wake of the recent kidnapping and murder of three Israeli teenagers in the West Bank and the subsequent kidnapping and killing of a Palestinian teenager from East Jerusalem. Militants in Gaza have since stepped up rocket attacks against Israel, and Israel has intensified its airstrikes and launched a ground offensive into the enclave. “The United Nations position is clear: We condemn strongly the rocket attacks. These must stop immediately,” said Mr. Ban. “We condemn the use of civilian sites – schools, hospitals and other civilian facilities – for military purposes. “No country would accept rockets raining down on its territory – and all countries and parties have an international obligation to protect civilians,” he added. During his meeting with Mr. Netanyahu, Mr. Ban reiterated his call for an immediate and unconditional ceasefire and stressed the need to alleviate the dire humanitarian situation in Gaza. From Israel, Mr. Ban travelled to Ramallah in the West Bank, from where he briefed the Security Council, which is holding an open debate on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He told the meeting via video conference that the parties must heed the Council’s call to return to negotiations in order to find an end to the conflict through a viable two-State solution. “We,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what is the result of a collective failure to advance a political solution for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e stated. “We cannot return to the status quo ante – a concern which Palestinians and Israelis both share.” He added that since the Council was last briefed on Sunday, the violence has reached “even more alarming” levels. “Yet again, too many civilians, including many children, are paying the price for this latest escalation. I once again urge all parties to rally behind a collective international effort to end the fighting. There is no time to lose.” While in Ramallah, Mr. Ban met with Palestinian Prime Minister Rami Hamdallah and cabinet members. At a press encounter with Mr. Hamdallah, the Secretary-General said that the images of women and children killed and suffering in Gaza are almost too much to bear . “Too many civilians are dying. Too many are caught in the crossfire. Too many families simply have no way out… I am concerned that further displacement will create chaos as well as yet more suffering of the Palestinian people.” He noted that he has now come to the region three times as Secretary-General in a span of five years to help end a burning crisis. “It is time to end the cycle of unrelenting suffering for the Palestinian people. In plain terms, that means any ceasefire must also tackle the root causes of instability in Gaza. Things cannot go back to the way they were – suffocating closures, chronic shortages of water and energy, economic underdevelopment, and chronic political impasse. Gazans must have real hope for reconstruction and progress.” According to the UN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OCHA), the recent escalation in violence has left over 500 people dead, the vast majority of them Palestinian civilians. Fighting has also displaced more than 100,000 people – more than 5 per cent of the population of Gaza – who are seeking shelter with the UN Agency for Palestine Refugees in the Near East (UNRWA). “There is literally no safe place for civilians,” OCHA spokesperson Jens Laerke told reporters in Geneva. In addition to the casualties, almost 500 houses had been completely destroyed or severely damaged by Israeli airstrikes, he added. At the press encounter with Mr. Netanyahu, the Secretary-General lamented the fact that too many Palestinian and Israeli mothers are burying their children. “We owe it to their sacrifice, and to Israelis’ and Palestinians’ aspirations for peace, to intensify efforts to find a solution.”
태국 내의 캄보디아 노동자들 본국으로 돌아가다!
99+
안녕하세요. 인도팀 10기 Neeta입니다. 너무 뒤늦게 아시아 소식에 글을 쓰는 점 죄송합니당ㅠㅠ 지난 7월 스터디 엠티를 이후로 활동을 잠정 중단했었는데 이제 다시 스터디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아시아 소식, 영어, 후속활동 그리고... 재밌는 뒷풀이! 이 4가지 키워드에 관심있는 아띠들 모두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연맹으로 오시면 됩니다!^^ 제가 이번에 전해 드릴 소식은 태국에서 일어난 쿠데타로 인해 10만명 이상의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들이 태국을 떠난 다는 것입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이주 증명서를 가지지 않은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태국 경찰들의 불시 검문이 캄보디아 이주 노동자들을 불안에 떨게 하고 그로인해 갑자기 많은 수의 캄보디아 노동자들이 태국을 빠져나가 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하지만 태국 군사정부에서는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체포나 탄압에 대해서 근거 없는 소문이라고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노동자들이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예전부터 Preah Vihear사원과 관련된 영토분쟁과 캄보디아 내 태국 대사관 방화로 인한 태국과 캄보디아의 긴장된 관계가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합니다. 미스 월드 쁘리양카- 니따의 설명에 따르면 훨씬 더 많은 수를 차지하는 미얀마 노동자들은 동요하지 않는데, 캄보디아 노동자는 태국과 캄보디아의 관계 때문에 더 크게 동요하는 건가? Kung- 루머는 역시 무섭다. 태국에서도 우리나라에서도 루머는 많은 사람들을 곤란하게 만든다. 태국의 쿠데타 상황도 캄보디아 사람들도 상황이 나아지길 바란다. 니따- 사회적, 정치적 불안과 루머는 많은 사람들을 동요하게 하는 것 같다. 혼란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다치지 않기를 바라고 태국도 빨리 안정을 찾기를 바란다. 익명1- 지금도 많은 수의 캄보디아 인이 불법 이주를 하고 있다. 캄보디아를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이 요지를 벗어나서 이야기 하자면 좀 더 캄보디아에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고, 노동자들을 위한 처우가 더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쑤쑤!! 째이요! 익명2- 이민자의 문제는 태국인이 아닌 우리나라도 안고 있는 문제이다. 이런 문제가 단순히 태국의 불안, 태국과 캄보디아의 안 좋은 관계에서 야기된다고 생각하지 말고 불법이민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다음은 기사 원문 입니다.> Over 100,000 Cambodian migrant workers flee Thailand By Madison Park, CNN June 16, 2014 -- Updated 1252 GMT (2052 HKT) Cambodian migrant workers wait to leave the Thai town of Aranyaprathet, spurred by talk within the community of a crackdown. STORY HIGHLIGHTS Organization: 140,000 Cambodian migrant workers leave Thailand Workers cite fears and anxieties of a potential crackdown Thailand officials say there is no crackdown on migrant workers (CNN) -- Fearful of a crackdown on undocumented workers, thousands of Cambodian migrants clutching children and towing their possessions in sacks and plastic bags, milled into a train station. They crammed inside in an orderly fashion-- mostly nervous and solemn -- as they waited for the train that will take them back to Cambodia. "They told me the Thai military would arrest us, and they would shoot," said Bo Sin, a Cambodian construction worker who was among those departing from the Thai border town of Aranyaprathet. Cambodian workers gathered their belongings and their children to make the journey back to their home country. When asked where he got this information, Bo Sin replied, "It could be a rumor, people are passing along this information." Many of the Cambodian workers echoed Bo Sin's fears. They say they're leaving because of talk of arrest and persecution -- unsubstantiated allegations that the Thai junta vehemently denies. But it has not stemmed the tide of Cambodian workers heading to the borders. About 140,000 migrant workers have fled Thailand causing bottleneck congestion at the border, said Joe Lowry, spokesman for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 feel really afraid, and my mother also called me to return home," said Ban Sue, a Cambodian cook who had worked at a Bangkok restaurant. Thailand has been under the control of the military since a coup in late May. Although tackling illegal migration has been one of the junta's priorities, unease over the issue and the sudden change in government may have fueled the migrant workers' concerns. Thai officials say there is no crackdown on undocumented workers and that it has been spurred by "groundless news reports based on rumors." Neither the junta nor local authorities have issued orders concerning migrant workers, said Sek Wannamethee, spokesman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ailand in a press release. "The rumor which was spread by unknown sources has caused panic among both Cambodian workers as well as Thai employers," he said. "Consequently, a number of Cambodian illegal workers have reported themselves to the Thai authorities to be repatriated voluntarily to Cambodia." There has been no use of force or killings, Sek Wannamethee said. It remains unclear where talk of a clampdown originated.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igration, an intergovernmental group, estimates there are 150,000 Cambodian undocumented migrants in Thailand with the majority of them working in construction or agriculture. Streams of Cambodian workers head to a train station. Thailand is believed to have about two million documented foreign migrant workers from countries including Myanmar, Cambodia and Laos who work in low-paying jobs that Thais are unwilling to do, according to a news service for the U.N. Office for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Foreign workers are often vulnerable to police harassment and exploitation, advocates say. "Many of these people are severely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have spent all their savings, if they had any, to get this far," said Brett Dickson, IOM's team leader in Poi Pet, Cambodia, in a news release. In recent decades, relations between Cambodia and Thailand have been dogged by border issues, tensions over an area surrounding the ancient Preah Vihear temple, and the 2003 burning of the Thai embassy in Phnom Penh by rioters. http://edition.cnn.com/2014/06/16/world/asia/cambodia-thailand-migrants/ 그럼 다음 기사를 통해 또 만나요! 안녕:)
인도 성폭행 문제의 10가지 원인
2
99+
안녕하세요 라온아띠 10기 동티모르팀 권순걸입니다. 10기가 귀국한지도 벌써 네 달이 지났네요.(같은 소리는 집어치우고.) 저와 서울지역의 (몇몇)10기 친구들(보경, 현정, 규홍, 보람)과 함께 이전 기수(순규, 혜인, 조은)가 지난 3월부터 거창하게는 MDGs8번 '개발을 위한 국제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모임, 조촐하게는 '영어기사 읽기 모임'(이라 쓰고 '술터디'라 읽는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아시아지역의 이슈들을 주로 다루며 영어로 된 기사를 읽고 함께 의견을 나누는 모임입니다. 이에 우리가 공부하는 글들을 여러분과 함께 공유할까 합니다. (우리 모임은 매주 목요일 7시에 진행합니다. 연맹이 이사를 함에 따라 우리의 장소도 소공동을 떠나 합정과 홍대 사이로 이동을 합니다. 우리 모임은 1일 1뒷풀이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합정과 홍대 사이로 장소를 이동함으로써 더욱 활발한 뒷풀이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우리 모임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언제는 환영합니다. 관련 문의는 Off-Line으로만 받습니다. 오세요~) 이번 기사는 인도 성폭행에 관한 기사입니다. 2012년 12월 기사이기는 하지만 지금도 인도와 그 부근의 국가들에서 벌어지는 성폭행과 명예살인과 연관된 기사여서 함께 공부하고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기사의 내용은 2012년 12월에 있었던 여성이 버스에서 집단 성폭행을 당하고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인도 내 성폭행의 원인에 대해 분석한 것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인도에서의 성폭행의 원인으로 여성경찰의 부족, 충분하지 못한 경찰, 자극적인 옷차림을 비난하는 경향, 가정폭력의 수용, 공공 안전의 결핍, 피해자를 낙인찍는 것, 피해자와 가해자를 합의하도록 부추기는 것, 느린 사법체계, 거의 없는 유죄판결, 낮은 여성의 지위 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기사를 함께 읽고 인도에서 라온아띠 활동을 했던 현정이와 함께 인도 내 공공화장실 부족과 특히 여성 화장실의 부족 등에 대해 이야기나누었습니다. 다음은 이 기사를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눈 후의 각자 느낀점 입니다. Srey nou - 여전히 식지 않는 '뜨거운 감자'. 매번 성에 관한 기사를 볼 때면 궁금해진다. 어떻게, 어디서부터 바로잡아야 할까? 같은 여성으로서 무언가 함꼐 바꾸어 나갈 방법이 없는 걸까? 익명 - 너무 매력적이고 가고 싶은 나라 중 하나이지만, 기사를 통해 느낀 것은 폐쇄적인 정부와 국민들에 대한 안타까움. 어서 빨리 인도의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길... 나아가 아시아 전역에서 우리 여성의 인권이 지켜졌으면 좋겠다. 익명 - 여성 인권에 대한 인식 부족과 화장실 부족과 같은 물리적 환경의 열악함에 의해 빚어진 많은 성폭행 문제에 대한 인도 정치인들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과더 폭넓은 교육이 필요한 것 같다. 순규 - 강간의 왕국(본문 두 번째 문단 첫 번째 문장)이라는 불명예에도 불구하고 인도에서는 지금도 강간 사건이 벌어지고 있따. 문제점에 대해서 모두가 인식하는 기미가 보이기는 하지만, 강간이 하나의 보이지 않는 문화가 되어버린 듯 하다. 남여와 인권에 대한 문제제기를 넘어서 사람드르이 내재된 폭력성과 무의식적인 행동에 대해 반성해야 되지 않을까? Lino - 라온아띠를 준비하며 배웠던 End Poverty의 빈곤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경제적이고 물질적인 결핍에서 오는 빈곤 뿐만 아니라 만연한 폭력과 안전의부재, 열악한 사회 환경 또한 빈곤의 범주에 들어감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아래는 워싱턴포스트의 영어 기사 전문입니다. 함께 공부하고 생각을 나눠봤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주에 만나요~ ~By Olga Khazan December 29, 2012 The case of a 23-year-old medical student who died Saturday after a brutal gang rape on a bus in New Delhi has seemed to snap India to attention about its endemic sexual violence problem. Hundreds of Indians poured into the streets of New Delhi to mourn the young woman, and police announced that the six men arrested in connection with the attack had been charged with murder. In recent years, New Delhi has earned the title of “rape capital” of India, with more than 560 cases of rape reported in the city, but violence against Indian women is widespread and has deep roots. Here's a look at some of the reasons behind the issue that's bringing Indians into the streets: 1. Few female police: Studies show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report sex crimes if female police officers are available. India has historically had a much lower percentage of female police officers than other Asian countries. In New Delhi, just 7 percent of police officers are women, and they are frequently given inconsequential posts that don't involve patrol duty, according to the Times of India. Of the 161 district police stations in Delhi, only one has a female station house officer. When women do report rape charges to male police, they are frequently demeaned: “The police refused to file a complaint. Instead, they asked my sister such vulgar details, it was as if she was being raped all over again,” Charanjit Kaur, the sister of another recent rape victim who committed suicide, told The Washington Post. “There was no lady police officer, they were all men. My sister cried in front of them and kept asking, ‘Would you still ask such questions if I were your daughter?’ As a result of the gang-rape incident, Delhi Police said they will launch a special effort to recruit more women. 2. Not enough police in general: There aren't enough police dedicated to protecting ordinary citizens, rather than elites, a Brookings article argues, and the officers that are available often lack basic evidence-gathering and investigative training and equipment: Delhi, for example, is home to one of the largest metropolitan police forces in the world with some 84,000 officers. But only one-third are involved in any kind of actual “policing” at any given time, while the rest provide protection services to various politicians, senior bureaucrats, diplomats and other elites. According to the Times of India there is one officer for every 200 citizens and about 20 officers for every VIP. Many of those who do perform police duties can be found shaking down motorists, participating in protection rackets and simply looking the other way as crimes take place. 3. Blaming provocative clothing: There's a tendency to assume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somehow brought it on themselves. In a 1996 survey of judges in India, 68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provocative clothing is an invitation to rape. In response to the recent gang-rape incident, a legislator in Rajasthan suggested banning skirts as a uniform for girls in private schools, citing it as the reason for increased cases of sexual harassment. 4. Acceptance of domestic violence: The Reuters TrustLaw group named India one of the worst countries in the world for women this year, in part because domestic violence there is often seen as deserved. A 2012 report by UNICEF found that 57 percent of Indian boys and 53 percent of girls between the ages of 15 and 19 think wife-beating is justified. A recent national family-health survey also reported that a sizable percentage of women blame themselves for beatings by their husbands. “When a boy grows up seeing his father assault his mother, he starts to accept such a behavior and repeats it,” Anuradha Gupta, mission director for India’s National Rural Health Mission, was quoted as saying. 5. A lack of public safety: Women generally aren't protected outside their homes. The gang rape occurred on a bus, and even Indian authorities say that the country's public places can be unsafe for women. Many streets are poorly lit, and there's a lack of women's toilets, a Women and Child Development Ministry report said recently. Women who drink, smoke or go to pubs are widely seen in Indian socirty as morally loose, and village clan councils have blamed a rise in women talking on cellphones and going to the bazaar for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rape. 6. Stigmatizing the victim: When verbal harassment or groping do occur in public areas, bystanders frequently look the other way rather than intervene, both to avoid a conflict and because they -- on some level -- blame the victim, observers say. Male politicians contribute to the problem, making statements that make light of rape or vilify rape victims' supporters. One regional policymaker, Anisur Rahman, recently asked a female minister what "her fee" would be for getting raped. The son of India’s president also recently apologized after calling those protesting against the Delhi gang rape “highly dented and painted” women, who go “from discos to demonstrations,” the AP reported. 7. Encouraging rape victims to compromise: In a recent separate rape case, a 17-year-old Indian girl who was allegedly gang-raped killed herself after police pressured her to drop the case and marry one of her attackers. Rape victims are often encouraged by village elders and clan councils to "compromise” with the family of accused and drop charges -- or even to marry the attacker. Such compromises are aimed at keeping the peace between families or clan groups. What's more, a girl's eventual prospects of marriage are thought to be more important than bringing a rapist to justice. 8. A sluggish court system: India's court system is painfully slow, in part because of a shortage of judges. The country has about 15 judges for every 1 million people, while China has 159. A Delhi high court judge once estimated it would take 466 years to get through the backlog in the capital alone. 9. Few convictions: For rapes that do get reported, India’s conviction rate is no more than 26 percent. There is also no law on the books covering routine daily sexual harassment, which is euphemistically called "eve-teasing." The passing of a proposed new sexual assault law has been delayed for seven years. 10. Low status of women: Perhaps the biggest issue, though, is women's overall lower status in Indian society. For poor families, the need to pay a marriage dowry can make daughters a burden. India has one of the lowest female-to-male population ratios in the world because of sex-selective abortion and female infanticide. Throughout their lives, sons are fed better than their sisters, are more likely to be sent to school and have brighter career prospects. In recent days, Indian politicians have put forward a slew of potential remedies for India's sexual violence problem. But it's worth noting that it will be hard to e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t police stations when it starts in the crib. Lakshmi reported from New Delhi.
말레이시아, 또다시 '빼앗긴' 정권교체
1
99+
안녕하세요, 3기 말레이시아팀 은솔입니다. 7기로 활동이 종료 된 라온아띠 활동지 말레이시아에서는 지난 5월에 총선이 있었습니다. 제 페이스북 담벼락을 도배하는 말레이시아 현지 친구들의 정권교체의 희망에, 저도 이 소식을 빠르게 전하고 싶었으나, 말레이시아의 정치에 대한 해박한 지식 부족으로 전할 언어가 없었는데, 참여연대에서 말레이시아 시민단체 활동가의 글을 번역해 놓았더군요! 공유합니다 :) [출처] 참여연대 칼럼 http://www.peoplepower21.org/International/1040473 * 한국은 아시아에 속합니다. 따라서 한국의 이슈는 곧 아시아의 이슈이고 아시아의 이슈는 곧 한국의 이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에게 아시아는 아직도 멀게 느껴집니다. 매년 수많은 한국 사람들이 아시아를 여행하지만 아시아의 정치·경제·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는 아직도 낯설기만 합니다. 아시아를 적극적으로 알고 재인식하는 과정은 우리들의 사고방식의 전환을 필요로 하는 일입니다. 또한 아시아를 넘어서 국제 사회에서 아시아에 속한 한 국가로서 한국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나가야 합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을 두고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2007년부터 <프레시안>과 함께 '아시아 생각' 칼럼을 연재해오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필자들이 아시아 국가들의 정치, 문화, 경제, 사회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권, 민주주의, 개발과 관련된 대안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말레이시아, 또다시 '빼앗긴' 정권교체 부정선거로 얼룩진 5.5 총선에 통곡한다 Wong Chin Huat (Bersih 활동가) 광주에서 한국 사람들이 어떻게 5.18 민주화 항쟁을 기념하는지를 보면서 나는 말레이시아의 5.13 사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광주 민주화 항쟁이 일어나기 11년 전인 1969년에 일어났다. 광주에서 흘린 피는 한국을 민주화의 길로 나아가게 했고, 18년 후에는 군부정권의 후신 정당이 민주 선거에 의한 정권교체로 이어졌다. 반면 쿠알라룸푸르에서 흘린 피는 39년 동안 말레시아를 괴롭힌 유산이 되었다. 공동체 내의 폭력이 준 상흔은 2008년 '정치 쓰나미'에 의해 아물기 시작했다. 말레이시아는 영국 식민지였던 세 지역의 연합체다: 말라야(현 말레이시아 반도) 그리고 보르네오 섬에 있는 두 개의 주인 사바와 사라왁이다. 말라야는 1957년 먼저 독립했고, 6년 뒤 사바와 사라왁 그리고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탈식민지화됐다. 다시 2년이 지난 뒤 싱가포르는 연방 전체를 지배하고 있었던 말라야의 집권 연합에 싱가포르의 집권당이 반기를 들었다는 이유로 말레이시아에서 분리됐다. ▲ 지난 5월5일 말레이시아 총선이 투표 조작과 매표 등 각종 부정행위로 얼룩졌다면서 야권과 지지자들이 항의 집회를 열고 있다. ⓒ로이터=뉴시스 60년 가까이 지속된 일당지배체제 지난 5월 5일, 말레이시아는 말라야 독립 이후 13번째 총선을 치렀다. 말레이시아는 1955년 통일말레이국민조직(United Malays National Organisation, UMNO)과 소수 정당들이 집권 연정을 구성한 후 정권 교체를 경험하지 못했다. 그리고 거의 60년의 세월 동안 UMNO가 주축이 된 연정 국민전선(Barisan Nasional, BN)의 일당지배가 지속되면서 부패와 권력남용과 오만이 극에 달했다. 이번 총선에 많은 말레이시아 인들은 투표를 통한 정권교체를 기대했다. 가장 널리 퍼진 슬로건은 "Ini Kalilah"(이제 때가왔다!)였다. 수천명의 해외 거주 말레이시아 인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본국으로 돌아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편 투표제도를 사용할 수 없었고 또한 해외의 많은 유권자들은 이 제도를 신뢰하지 않았다. 수백만 명의 말레이시아 사람들은 투표를 하기 위해 도시를 떠나 자기 고향으로 돌아갔다. 투표율은 85%에 육박하며 역대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단순히 투표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정당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일반 말레이시아 대중들은 선거 감시단, 개표인단, 그리고 심지어는 야당 캠페인단이나 환경보호와 같은 사회 이슈를 홍보하는 캠페인단으로 자원해서 활동했다. 말레이시아 사람들이 1969년 사태 이후 이번처럼 정치적인 모습을 보인 적이 없었다. 득표율 소수 정당이 다수당, 어떻게? 그러나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소선구제의 노골적인 게리멘더링(자신에게 유리하게 선거구를 정하는 것)과 불균형한 의원 할당 덕분에 BN은 47%의 지지를 얻고도 60%의 의석을 차지할 수 있었다. 이는 1969년 첫 번째 패배 이후 집권 여당연합이 일반 투표율에서 진 두 번째 패배였다. 더 끔찍한 것은 아무도 BN이 실제 몇 표를 얻었는지를 알 수 없었고 아마 그 수는 47%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보인다. 단지 BN이 모든 주류 언론을 장악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전략적으로 유권자 그룹에게 공공 기금을 배당하고 연회를 베풀며 무료 음악회를 열어 표를 샀으며 몇몇 지방에서는 현금을 나눠주기도 했다. 투표와 개표 과정에서는 조작이 난무했다. 처음에는 선거위원회가 여론의 압력에 못 이겨 이중 투표를 방지할 수 있는 지워지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기로 했다. 선거위원회는 잉크가 5일은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알고보니 일반 세제로 쉽게 지워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먼저 투표한 사람들이 나중에 다른 사람인 것처럼 위장해 다시 투표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선거가 있기 며칠 전, 항공사 내부고발자들은 총리실이 투표에 참가하라며 사바와 사라왁에 있는 약 4만명의 이주 노동자들을 본토로 보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그들은 습관적으로 무효표를 던지거나 투표소에 일찍 나타나지 않은 유권자들을 대신해 투표하도록 지시 받았고 이를 위해 정부가 제공한 신분증을 받았다. 이러한 의혹은 대규모의 이주 노동자들이 공항에서 군사 기지나 이주민 수용소로 옮겨지는 것이 목격되면서 더욱 짙어졌다. BN은 그러한 의혹을 전적으로 부정했다. 하지만 당초 이런 의혹이 불거졌을 때 한 각료는 전세기가 동원된 사실은 인정했으나 해당 이주노동자들은 "BN의 친구들"에 의해 고향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지원받은 적법한 유권자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왜 해당 유권자들이 자신들의 집이 아니라 "집단수용소"에 보내졌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의혹이 불거지면서 대부분의 이주 노동자들이 투표를 하지 못하게 됐겠지만, 일부 선거구 투표소에서 이주 노동자들이 목격되었다. 조작과 부정행위는 개표 과정에서도 나타났다. 일부 선거구에서 야당의 개표원들은 투표수를 집계한 용지를 볼 수 없었다. 심지어 일부 개표소에서는 갑자기 정전이 발생했다. 전기가 다시 들어왔을 때 투표수 기입용지가 개봉된 상태였다는 사례도 보고됐다. 야당연합, 51% 득표율에도 정권교체 실패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 전 부총리가 이끄는 야당 연합 파카탄 라키아트(Pakatan Rakyat. PR)은 51%의 득표율에도 불구하고 연방의석 중 40%만 얻었다. 이 때문에 안와르 이브라힘은 BN의 승리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선거 개혁 운동을 벌이는 베르시 2.0(깨끗하고 공정한 선거를 위한 연합) 또한 BN 정부를 인정하기를 거부했다.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집회가 수도 쿠알라룸푸르 일대와 각 주의 수도에서 10여 차례 열렸다. 이들 집회에는 약 2만 명에서 12만 명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의 시민들이 검은 옷을 입고 모여 지난 5월 5일로 민주주의가 죽었다고 애도했다. 선거일을 뜻한 '505'와 의심스러운 정전 사고를 가리키는 '정전'을 새긴 검은색 티셔츠는 불티나게 팔렸다. 유례를 찾기 힘든 부정선거에 대해, 국민통합을 외치던 BN의 나집 라작 의장은 대응은 인종차별적 발언이었다. 그는 "중국계 쓰나미"라는 표현으로 UMNO와 BN에 반대표를 던진 유권자들은 중국계들 뿐이며, 이들 때문에 UMNO의 친중국 인사들이 거의 모두 낙선했다고 비난했다. 나집는 전체 유권자의 29%를 차지하는 소수 중국계들 중 80~90%가 PR을 지지하고, 전체 유권자의 60%를 차지하는 말레이-무슬림들 중 반 정도만 PR을 지지한다는 것을 근거로 내세웠다. 그의 주장은 말레이-무슬림들이 PR 지지층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소수 인종에 의해 장악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무시한 것이다. 도시지역에는 야당 지지세 뚜렷 독립적인 분석가들은 이번 선거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은 "중국계 쓰나미"가 아니라 "도시 쓰나미"라고 해석했다. BN이 지배하는 언론에 휘둘리지 않는 도시 지역에서는 BN이 압도적인 다수당의 지위를 상실한 반면, 정보 격차가 큰 농촌 지역에서는 여전히 BN의 독주가 지속됐다는 것이다. PR을 지지하는 중국계 유권자 대다수가 도시 거주자이고, 도시에 거주하는 말레이-무슬림들 중 BN에 반대표를 던진 유권자들이 적지 않았다. 47%의 득표에 그친 나집 라작 총리의 의중을 받아 UMNO의 기관지 격인 <우투산 말레이시아(Utusan Malaysia)> 신문은 말레이-무슬림들의 불안감을 부추기는 기사로 한달에 걸쳐 지속적으로 내보냈다. 선거 이틀 뒤 "중국인들이 진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도발적인 제목 기사가 신호탄이었다. UMNO의 전위조직들은 반중 캠페인에 동원되고, 무슬림 소비자 연맹은 중국제품 불매운동에 나섰다. 한 전직 판사는 교육, 고용에서 지분 소유권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공적 영역에서 다수 인종에게 67%를 의무적으로 할당하는 제도를 도입하자고 주장했다. 말레이인으로 저가 항공사 에어아시아 X의 최고경영자 아즈란 오스만 라니(Azlan Osman-Rani)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는 말레이시아 사람이다. 나는 인종차별에 반대한다. 나는 우투산의 논조에 역겨움을 느낀다"고 썼다가, 우투산과 동조세력으로부터 말레이인들에 대한 반역자라는 등 심한 공격을 받았고, 이들은 심지어 이 항공사에 대한 보이콧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정부 기관들도 반정부 인사들을 노렸다. 검은 옷을 입고 모인 집회에서 발언한 사람들과 집회를 조직한 사람들은 선동과 집시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다. 새로 취임한 내무장관은 말레이시아의 소선구제에 비판적인 사람들은 이 나라를 떠나라고 요구했다. 이민국 사무총장은 외국에서 말레이시아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는 말레이시아인들은 여권을 말소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내무장관과 인터넷 규제당국은 BN이 주도하는 언론을 무력화시킨 인터넷의 힘에 놀라 네티즌들에 대한 감시도 강화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민주화, 넘어야할 난관 많아 나집은 정치적 지지가 도시 지역과 청년층 중심으로 약화되자 BN을 연정체제에서 단일 체제로 전환시킬 것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그는 검은옷을 입고 모인 집회의 요구를 일부 받아들여 선거위원회를 감시하는 특별위원회를 의회에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선거위원회는 "BN보다 더 BN스럽다"고 불릴 정도로 당파적인 성향으로 악명이 높았다. 나집는 두 명의 시민단체 지도자들을 내각에 끌어들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개혁 조치'들이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가능성은 거의 없다. UMNO은 일당지배의 전성기가 종식되고 양당 체제 시대가 이미 와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을 인정하게 될 때까지, 민주적인 경쟁으로는 이길 수 없는 상황에서 UMNO는 선거 조작과 매표는 물론 인종 차별적 선동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패배를 막으려할 것이다. 말레시아가 민주화로 나가는 길은 일견 어두워 보인다. 야권이 UMNO-BN의 지배체제를 종식시키려고 1990년과 1998년에 애를 썼으나 실패했다. 2013년에 다시 도전했으나 또 실패하고 말았다. 말레이시아 야권은 정권교체를 해낼 수 있을까? 올해 말 새로운 선거구 획정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UMNO가 의원수 할당과 게리맨더링을 자기들에 더 유리하게 관철한다면, PR은 55%의 표를 얻더라도 UMNO를 꺾지 못할 수 있다. UMNO-BN이 농촌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는 현실도 쉽사리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역사를 돌이켜보면 낙담하기에는 이르다. 말레이시아는 다양한 인종이 어우러진 전형적인 사회다. 민주주의가 정착되려면 문화적인 균질성이 요구된다는 것이 상식이다. 1957년 말레이시아의 영국 식민시대가 끝났을 때 인종 갈등을 막기 위해 다인종으로 구성된 정당체제를 만들도록 했으나, 정권교체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 당시 영국의 집권당이었던 노동당은 UMNO가 이끄는 연정에 맞서는 또다른 다인종 정당이 들어서도록 준비하거나 지원하지 않았다. UMNO 내의 귀족적 엘리트들과 중국계, 인도계 자본가들의 동맹체제에 대항하는 대안세력이 있으면, 좌파 성향을 띨 가능성이 있다. 당시 냉전 시기에 영국은 이런 대안세력이 공산주의로 이어질 것을 크게 우려했던 것이다. 1969년 집권 연정이 말레이와 중국계를 기반으로 한 야권에 사실상 패배 했을 때 UMNO는 2013년 총선 때와 마찬가지로 중국계가 말레이의 지배에 반대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곧바로 중국계와 말레이 간 충돌이 쿠알라룸푸르에서 발생해 계엄통치와 정당 쿠데타로 이어졌다. 당시 나집 라작의 아버지이자 부총리였던 압둘 라작 후세인과 강경파 지지자들은 초대 총리 툰쿠 압둘 라만(Tunku Abdul Rahman)으로부터 정권을 빼앗았다. 1969년부터 1971년까지 계속된 계엄통치 기간에 압둘 라작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며 말레이시아를 UMNO가 지배하는 일당지배 체제로 바꿔놓았다. 분열 조장과 폭력의 공포 정치 일당지배 체제를 떠받치는 두 기둥은 분열 조장과 폭력이 주는 공포였다. 계급 갈등을 조장하고 말레이 무슬림 우대정책을 도입하면서 압둘 라작은 말레이-무슬림들을 UMNO의 안정적 지지자로 바꿔놓았다. 압둘 라작은 민주적 참여가 인종 긴장과 갈등만을 불어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하며 의도적으로 말레이시아를 비정치화 시켰다. 라작은 "인종 갈등이 곳곳에서 분출되고 있는 오늘날 말레이시아 사회에서 어떠한 정치운동도 인종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분열을 가속화 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1959년 5.13 폭동은 이후 거의 모든 선거에 있어서 "평화를 원한다면 BN을 선택하라"는 공포의 메시지를 이용됐다. 특히 중국계들의 집회 참여는 금기시됐다. 압둘 라작의 유산은 지난 2008년 야권이 의회의 3분의 2를 장악해오던 BN의 아성을 깨고 5개 주정부의 다수당을 차지하면서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폭동도 일어나지 않았다. 야권의 정당들은 주 정부 차원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서로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고, 공산주의와도 거리를 두는 역량을 키울 수 있었다. 우투산 말레이시아와 UMNO은 2013년 총선 뒤 인종 갈등을 부추기려는 노력이 어떠한 긴장도 조성하지 못하자 낙담했다.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된 젊은이들이 마치 길거리 축제에 참가하는 것처럼 검은옷을 입고 집회에 몰려들었다. 오히려 의혹이 무성한 선거 이후 공동체 내의 결속이 강해졌다. 말레이 학생 지도자 아담 아드리(Adam Adli)가 시위를 주도했다는 이유로 체포돼 중국계 지역에 위치한 경찰서에 수감되자, 많은 지역 주민들이 나흘간에 걸친 저녁집회에 참여했다. 지지자 중 18명이 체포되기도 했는데, 그중 15명은 중국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말레이시아 인들이 자유를 얻기 위해 투쟁에 나가야하지만, 자유를 얻는 그 날이 그리 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어두운 과거사도 정리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한국인들이 5.18 항쟁이라는 사건을 소중한 역사적 교훈으로 삼고 있는 것처럼, 우리 말레시아인들도 5.13를 포함한 비극적인 정치적 사건들로부터 진실과 화해를 찾으려 노력할 날이 올 것이다.
방글라데시 의류공장의 연이은 참사, 소비자는 죄가 없나?
99+
방글라데시 의류공장의 연이은 참사, 소비자는 죄가 없나? | 기사입력 2013-05-12 19:15 | 최종수정 2013-05-12 21:03 [매경닷컴 MK패션 김희선 기자] 지난달 24일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 인근 사바르에서 발생한 의류공장 라나플라자의 붕괴로 현재까지 목숨을 잃은 노동자의 수가 1,100명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며칠 후 붕괴 현장 잔해 속에서 꼭 껴안고 있는 남녀의 시신이 발견돼 전 세계를 또 한 번 울렸고, 지난 10일엔 17일 만에 극적으로 19세의 여성생존자가 구조됐다. 그리고 8일엔 같은 구역의 또 다른 의류공장에서 불이 나 공장 상임이사와 경찰관을 포함한 최소 8명이 숨져 안타까움을 더했다. 연이어 계속되는 참사로 의류업체 아시아 생산기지의 열악한 노동 환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사고가 난 라나플라자 공장에는 근로자 4,000여 명이 일하고 있었으며, 이들 대다수는 장시간 근무와 낮은 급여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해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미 붕괴 위험이 감지돼 같은 건물 내 다른 상점은 미리 철수했지만 공장관계자는 이를 무시, 터무니없이 많은 희생자를 만들어냈다. 지난해 12월 12일, 새로운 상품이 얼마나 자주 입고되는지를 알리는 미국 아틀란타 H&M 매장의 광고 문구 브랜드가 생산처를 외국에 두고 의상을 만드는 글로벌 소싱(sourcing). 대부분 SPA 브랜드가 채택하고 있는 이 글로벌 소싱은 ‘저렴한 가격으로 빠르게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래야만 가격은 낮추고 빠른 시간에 제품은 공급되는 생산 메커니즘이 가능해진다. 일례로 ‘유니클로’는 생산공장과 원부자재에 이르기까지 최고의 글로벌 소싱처를 찾아 가격 대비 최적의 퀄리티를 유지하는 것으로 브랜드를 지탱해 왔다. 물론 최근엔 면 소재의 품질 저하로 문제가 되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과거 이 소싱국은 중국이 도맡았지만, 중국 노동자의 가파른 임금 상승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가진 베트남과 방글라데시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지 오래다. 이렇게 동남아시아와 지중해 연안국으로 소싱처는 확대됐고, 동유럽과 북아프리카까지 전 세계 의류업체의 생산라인은 널리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생산기지에서는 저렴한 임금 그리고 쉴 새 없이 쏟아져 나오는 디자인의 납기일을 맞추기 위한 초과근무 등 노동력 착취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아메리칸 어패럴’과 같이 처음부터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지급하는 것을 경영이념으로 내걸어 고객에게 어필하는 브랜드가 등장하기도 했다. 지난 10일(현지시각) 사고 발생 17일 만에 극적으로 구조된 19세 여성생존자 전 세계에 수출되는 의류제품을 만들기 위해 소싱국의 노동자는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쉬지 않고 일을 한다.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미숙련 의류 노동자 월평균 임금은 중국 150달러, 인도네시아 140달러, 베트남 63달러, 방글라데시 40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 4~5만 원을 받는 노동자들이 만든 제품으로 이루어낸 의류 브랜드의 이익은 그야말로 눈부시다. 브랜드 ‘자라’를 보유한 인디텍스 그룹의 창업주 아만시오 오르테가는 4월 초 포브스에서 선정한 세계 부호 순위에서 처음 3위에 올랐다. 그는 지난 한 해 동안 재산을 195억 달러나 늘려 재산 증가율은 1위를 차지했다. SPA 브랜드의 폭풍 성장은 한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해외 SPA 브랜드 ‘H&M’, ‘유니클로’, ‘자라’의 국내 매출액 합계는 7,988억 원으로 전년보다 60% 정도 증가했다. 월마트와 H&M을 비롯해, 자라, 베네통, 망고 등 수많은 브랜드가 방글라데시 공장에서 생산한 의류를 납품받고 있다. 사고가 난 라나플라자에서 제품을 납품받아 온 브랜드는 영국의 프리마크, 이탈리아 베네통, 스페인 망고 등이다. 이들 브랜드의 페이스북엔 화난 고객들의 코멘트가 넘쳐나고 몇몇 소비자는 다른 브랜드의 옷을 입겠다고 경고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참사를 계기로 변화의 움직임도 감지된다. 의류업체는 생산 공정에 대한 보다 정확한 표기를 하는가 하면, 소비자와 소매업자들 또한 제품이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 신경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 몇몇 브랜드는 발 빠르게 희생자 유족에 대한 보상 및 펀드 조성, 그리고 근로조건 향상을 약속하고 있다. 환경문제에 이어 노동 현실로 또다시 도마에 오른 패스트 패션. 빠르게 교체되는 새 제품 덕분에 우리는 SPA 매장에 들를 때마다 정신없이 매장 곳곳을 헤매곤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빠른 회전율은 열악한 환경 속 수당 없는 초과근무의 결과물이다. 하지만 소비자 역시 이번 참사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사고현장의 참혹한 사진에 슬퍼하며 혀를 차면서도, 정작 옷을 사기 위해 아무렇지도 않게 이들 매장으로 향하는 우리에게는 과연 아무런 책임이 없다 할 수 있는지. 노동의 대가는 정당하게 지급해야만 한다. 언제 벌어질지 모를 화재와 붕괴 위험 속에서 밤낮으로 재봉틀을 돌리고 있는 방글라데시 근로자의 모습은 불과 40여 년 전 재봉틀을 돌리며 어린 동생들을 먹여 살렸던 우리네 언니들의 모습이었다. [매경닷컴 MK패션 김희선 기자 news@fashionmk.co.kr/사진= AP 뉴시스]
물의 축제 '송크란'을 아시나요?
2
99+
안녕하세요. 라온아띠 9th 태국으로 파견된 김도기 단원입니다. 태국에는 큰 명절이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4월에 있는 송크란과 또다른 하나는 11월에 있는 러이 끄라통입니다. 상반기에 파견되는 아띠들은 송크란을, 11월에 파견되는 아띠들은 러이 끄라통을 직접 체험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저희 라온아띠 9th도 태국의 제 2의 도시 치앙마이에서 송끄란을 보냈습니다. - 잠깐 송크란이 뭔가요? 송크란 축제는 태국 불교식 음력으로 한해가 시작되는 태국의 고유 설날이며 새해를 축하하는 축제입니다. 송크란이란 뜻은 ‘자리이동’ 즉 태양이 새 별자리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새해 맞이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른들에게 새배를 드리며 건강을 기원하고, 사람들은 거리로 나와 모르는 사람에게 물을 뿌리기도 맞기도 합니다. 이렇게 상대방에게 행하는 물장난의 기원은 송크란을 맞이해 새해의 복을 빌며 물로써 지난해의 업보와 마음을 정화하여 깨끗한 새해를 맞이하자는 의미입니다 올해는 4월 11일~19일이 송크란 기간이였으며, 피크 기간은 4월 13-15일입니다. 태국 전역에서 행해지며 특히 방콕의 카오산 로드와 싸남루앙광장, 치앙마이에서 펼쳐지는 행사가 유명합니다. - 겁내지 말고 즐겨라! 송크란 기간동안 물을 피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길을 걷다가도 온몸이 홀딱 젖을 각오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나이 든 어르신들은 송크란 기간에는 집에서 잘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처음 송크란을 접하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지나가다 갑자기 물을 맞으면 기분이 나쁠 법도 한데 다들 허허 웃으며 넘어갑니다. 만약 한국에서 모르는 사람들에게 물을 뿌렸다간 어떻게 될지 무섭습니다. 특히 송크란 기간에는 전자기기(카메라, 핸드폰 등등)는 스스로 물을 방어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괜히 송크란 기간에 전자기기가 망가져 축제를 즐기지 못하면 그보다 안타까운 일이 없습니다. - 송크란 축제의 빛과 그림자 송크란 축제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짐에 따라서 진정하게 축제를 즐기러 오는 사람도 많지만 한편으로는 좋지 않은 일도 많이 생기기도 합니다. 송크란의 진정한 의미를 잊은 채 단지 모르는 사람에게 물을 뿌리고, 밤새도록 술을 마시는 날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서 매년 송크란 기간 내에 3000명 이상이 다치고 200명 이상이 죽는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송크란 축제 기간 중에는 술을 금지하고 오토바이 운전자들에게는 핼멧을 꼭 쓸 것을 당부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송크란은 태국 사람들에게는 큰 명절이자 축제 그리고 가장 사고가 많아 불행한 기간이기도 합니다. 동전에도 양면이 있듯이 송크란의 진정한 의미를 즐기면서 서로서로 조심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즐거운 축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꼭 한번 태국에 와서 송크란 축제를 즐겨보시기를 바랍니다.
"우린 부자니까..." 여기 '강남8학군' 사람들은 달랐다
1
99+
나는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함께 진행하는 라오스 산간학교 태양광 지원사업의 현지 코디네이터 역할을 맡고 있다. 지난 여름 태양광발전기를 설치한 라오스의 강마을 '후와이찟'으로 가는 길이다. 북쪽으로 메콩(라오스에서 메콩은 물의 어머니란 뜻이다)을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배를 탈 수 있는 나루터에 도착했다. 여기 나루에서 배를 타는 것은 사람만이 아니다.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의 도시 루앙프라방에서 코끼리로 유명한 싸이냐부리(Xayaboury, 라오스 북서쪽에 위치한 도道의 이름. 도청이 같은 이름의 싸이냐부리 군郡에 있다)로 오고가는 모든 것들이 배를 이용한다. 화물트럭, 버스, 오토바이부터 물소, 닭, 돼지들까지 말이다. 강마을 '후와이찟'으로 가는 길 동행하는 싸이냐부리 에너지광산국 직원 뚜이(뚱뚱하다는 뜻이다. 진짜 이름은 '푸턴'이지만 보통들 커서도 친근하게 어릴 적 별명을 그대로 쓴다)가 우리를 실어다줄 배 물색에 나섰다. 뚜이는 에너지광산국에서 재생에너지 분야를 담당하는 두 명 중 한 명으로 에너지광산국의 막내다. 얼마 지나지 않아 뚜이가 영락없는 라오스 시골 아저씨 얼굴을 한 사공을 데리고 나타났다. 아저씨는 나름 확고한 표정을 하고선 왕복 30만 낍(라오스 화폐단위. 3월 5일 현재 환율은 1달러= 7860낍)을 달라신다. '30만 낍? 왕복이기는 해도 좀 비싼데…' 머릿속으로 돈 계산을 하느라 머뭇거리는데 뚜이가 시나브로 나선다. 가서 오래도 아니고 조금만 기다리면 되고, 이 한국 사람들이 아저씨 이웃마을 후와이찟 학교에 태양광발전기를 도와주러가는 길이니 아저씨도 뱃삯을 좀 깎아줘서 이들을 좀 도와줘야 하지 않겠냐고 한다. 오! 뚜이, 마냥 풋내기인줄 알았는데 제법이다. 라오스 사람들은 도움을 청하면 열에 아홉은 절대 거절하지 못한다. 당연히 사공도 그런 라오스 사람. 뱃삯은 어렵지 않게 25만 낍으로 낙찰됐다. ▲ 라오스 후와이찟 마을 초입 ⓒ 이영란 관련사진보기 뚜이가 기특하고 또 사공의 마음도 어여뻐 흐뭇하게 미소를 흘리며 배에 오르는데 또 다른 아저씨가 나를 부른다. 어, 이게 누군가? 우리의 목적지 후와이찟 마을의 이장님이다. 강나루 마을에 사는 친척집에 왔다가 다시 그 친척과 꼬마를 데리고 돌아가는 길이란다. 흔들거리는 조각배에 몸집이 큰 사람은 혼자 앉아도 좁을 판자에 엉덩이를 붙이고 우리는 둘씩 쪼그려 앉았는데 아빠와 여섯 살 난 아들, 이장님은 셋이 꼭 안은 듯이 붙어 앉았다. 내 생애 가장 행복했던 시절 메콩을 거슬러 오르기 전에 기름을 넣으려고 배가 건너편 강나루의 주유선으로 천천히 다가갔다. 맨 앞자리에 앉아 고개 돌리기도 쉽지 않은데 우리 이장님 목소리는 뒤쪽으로 와르르 쏟아졌다. 많이 보고 싶었다, 이번엔 토끼 아가씨(지난 여름 과학창의재단 후원으로 태양광발전기를 지원할 때 함께 온 전북대 학생이다. 라오스 어린 학생들이 쉽게 부를 수 있도록 우리도 별명을 만들어 썼다)는 안 오느냐, 특히 우리 집 아기가 많이 보고 싶어 한다(그때 하룻밤 이장님 댁에서 묵으면서 토끼 학생이 집안의 꼬마들과 정말 잘 놀아주었다), 여전히 마을 학생들은 '곰 세 마리' 노래(내가 라오스어로 번역해 준 것을 열심히 외우고 연습해서 그 학생들의 공연은 어른들한테도 인기 만발이었다)와 율동을 하면서 그때 이야기를 많이 한다 등등. 이장님의 회고가 끝없이 이어진다. 정 깊은 라오스 사람들, 게다가 전기도 들어가지 못하는 두메산골의 이장님은 순진무구 그 자체다. 이야기를 할수록 기억이 생생해 지는지 눈시울까지 붉히신다. 그래, 나도 그랬다. 내 생애 가장 행복했던 시절…. 2007년 1월 나는 처음 라오스에 왔다. 외교통상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해외봉사단원으로 파견된 것이다. 지리교사를 꿈꿨고, 제3세계에 국한된 것이긴 하지만 그다지 적지 않은 지역을 여행했기에 웬만한 나라는 어디에 있는지 수도 이름이 무엇인지 정도는 알았다. 그런데 라오스는 웬만한 나라가 아니었다. 단원으로 선발되면 한 달 동안 합숙훈련을 한다. 이때 파견되는 국가에 대한 공부를 한다. 애초 내가 지원했던 나라는 아프리카 중서부의 콩고민주공화국이었다. 프랑스어를 배우고 그곳의 비상한 정치사회 환경을 고려해 유엔평화군 대피방송을 놓치지 않도록 라디오까지 준비했다. 그런데 파견을 일주일 앞두고 콩고의 상황이 진짜 비상해졌다. 나의 파견지는 라오스로 바뀌었고 그때서야 나는 라오스에 대해 알아가기 시작했다. 라오스 사람들의 특별한 사회연대 의식 ▲ 라오스 싸이냐부리 읍내 중심에 있는 '믿따팝(우정) 중학교' 학생들. ⓒ 이영란 관련사진보기 ▲ 읍내 학생들과는 차림새부터 다른 라오스 산골마을의 학생들 ⓒ 이영란 관련사진보기 그리고 나는 라오스에서 두 해를 살면서 책이 가르쳐주지 못하는 다른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다. 그 중 제일은 라오스 사람들의 마음 씀, 라오스 사람들의 특별한 사회연대 의식이었다. 그래서 라오스를 사랑하게 되었다. 그랬다. 내가 파견되어 일하고 있는 '믿따팝(우정) 중학교'에 장학금을 주겠다는데, 우리학교 선생님들은 굳이 우리학교 학생이 아닌 자기가 알고 있는 주변에서 가장 도움이 필요한 다른 학교 학생(읍내 외곽의 중학교를 다니는 손과 발이 없는 여학생 분나리)을 추천했다. 또 한국에서 지원금을 주겠다는데, 이번에도 선생님들은 우리학교는 부자라며(우리학교는 싸이냐부리 읍내 중심지에 있다. 우리로 치면 강남 8학군이랄 수 있다), 고아들과 멀리 읍내로 유학 와야 하는 소수민족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를 도와주라고 했다. 그리곤 나를 그 학교로 데려갔다. 그런데 우리학교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난 고아와 소수민족학교 선생님이 말했다. 저기 멀리 산속(서쪽으로 타이와 접경한 빠이, 크므, 타이담 등 소수민족들이 주로 거주하는 해발 1500미터 이상의 고산지역)에 우리보다 더 사정이 어려운 학교가 있으니 그 학교를 도와 달라고 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일은 더욱 커졌다. 한국서 주는 지원금은 고작 30만원, 바람찬 산골학교 기숙사에 사는 학생들에게 이불 한 장씩도 못 사주는 작은 돈이었다. 한국 단원들의 엄마 역할을 맡아주신 부와판 선생님이 나섰다. 시장으로 나를 데려갔다. 이불가게 주인에게 부와판 선생님은 뚜이처럼 말씀하셨다. 씰리펀(나의 라오스 이름이다. 상서로운, 행운이라는 뜻)이 저기 멀리 산골학교를 도와주려는데 주인도 이불 값을 좀 깎아줘서 씰리펀을 도와주라고. 이불가게 주인은 그 돈에 꼭 맞춰주었다. 무려 20퍼센트 이상을 싸게 해준 거다. 근데 이걸 저 멀리 산골학교까지 운반할 찻삯은 어쩌지? 우리학교 교장 완텅 선생님이 나섰다. 교육청으로 군청으로 찾아다니시더니 마침 며칠 후 그쪽으로 가는 군용트럭이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는 우리가 얹혀갈 수 있도록 절차를 밟아주셨다. 출발하기 전전날 우리학교 학생들이 등교하면서 쌀 한 봉지씩을 가져왔다. 출발 전날엔 그걸 모아 산골학교 학생들에게 나누어줄 떡을 만들고 우리가 먹을 밥을 짓고 나머지를 팔아 만든 돈으로 반찬거리까지 준비했다. 멀리 그 학교가 있는 마을엔 식당은 고사하고 변변한 가게도 없으니 우리가 먹을 것은 우리가 직접 싸가지고 가야 했던 거다. 이불을 부려놓고 그날 밤 칼바람이 스미는 산꼭대기 마을회관에 누웠다. 코끝이 시리고 또 시렸다. 그래서 더 그곳을 사랑하게 되었다. 메콩의 심장, 라오스 ▲ 라오스 학생들이 꿈꾸는 미래는 무엇일까? ⓒ 이영란 관련사진보기 기름을 채우고 난 배가 속도를 높인다. 기억이 '저기 멀리 산골학교'까지 이르러 시린 코 끝에 물보라 튄다. 건기여도 결코 작지 않은 메콩 위를 모터 하나에 의지해 달리는 조각배는 나뭇잎만 같다. 물살이 빠른 데서는 통통 튕기는 배가 뒤집어지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했다. 40여 분을 거슬러 올라가며 만나는 오늘의 메콩은 지난 여름과 또 다른 느낌이다. 검은색 이암일까, 아님 철광석? 강 가운데 드러난 바위들이 지질학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메콩이 품어와 쌓아놓은 모래언덕은 그대로 메콩 사람들의 파릇파릇한 텃밭으로 쓰이고 군데군데 대나무 장대에 달아놓은 그물을 살피는 어부들이 여유롭다. 여기까지 사람 발길이 닿는가 싶은 곳에도 사납지 않은 화전들이 일궈지고. 그런데 한가로운 내 눈에 걱정들이 걸린다. 저 어부들 앞으로도 물고기들을 그대로 잡을 수 있을까? 저 오밀조밀 텃밭들은 앞으로도 계속 비옥할 수 있을까? 중국의 메콩엔 이미 몇 개 댐이 들어서 있다. 계획되고 있는 것도 또 몇 개다. 국가 발전전략으로 '아시아의 배터리'를 천명한 라오스 역시 9개의 댐을 짓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지금 나의 라오스 고향 싸이냐부리에 그 첫 번째 댐이 한창 공사 중이다. 과연 내가 사랑하는 라오스 사람들, 태양광발전기로 불을 밝히며 공부한 우리 후와이찟 마을의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를 무엇으로 밝힐 것인지? 그들이 과연 그것을 선택할 수 있을까? 근데 그때는 너무 늦지 않을까? 필자 : 이영란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연구원이며, <싸바이디 라오스> 저자입니다. 출처 : 오마이뉴스 기획- 메콩의 햇빛① 난 왜 라오스를 사랑하게 되었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41704
포스코의 인도제철소 건설과 ‘인권침해’ 논란
99+
'인디아투데이' 2013년 3월2일자 보도 포스코는 2012년 1년동안 매출액 63조 6040억원, 영업이익 3조 6530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세계 철강 시장의 판매 불황과 과잉생산, 제품가 하락 등 악조건에서 일군 훌륭한 경영성과로 평가된다. 이러한 포스코의 성장세는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포스코의 신규 해외 사업 추진을 둘러싼 최근의 흐름을 보면 몇 가지 우려할 만한 점들이 없지 않다.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인 포스코 포스코는 현재 인도 오디사(Odisha)주에서 2005년부터 추진 중인 대규모 종합 제철단지 건설을 둘러싼 국제적 비판과 비난에 직면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사회에서는 포스코의 프로젝트가 국제규범을 준수하고 인권과 환경을 고려하며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고 확인을 요구하고 있다 . 인도 오디사주 현황 및 POSCO 제철소 부지 예정지 급기야 2012년 10월에는 인도와 한국,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의 NGO들이 포스코의 프로젝트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을 위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한국과 네덜란드, 노르웨이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연락사무소에 진정을 제기하기에 이른다. 특히 올해 2월 초 인도 당국은 공권력을 투입하여 평화적으로 저항하던 주민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며 강제 토지수용을 시도하였고, 3월초에는 포스코 프로젝트 찬성 주민들로 의심되는 괴한들의 폭탄공격으로 반대운동 주민 4명이 사망하였다. 당시 ‘인디아투데이’ 등 인도 언론은 주민들의 반대시위 소식과 함께 사건 당시 상황을 자세히 보도한 바 있다. 포스코 반대운동 주민들의 사망 사건 이후, 포스코에 대한 우려는 국제사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제엠네스티는 최근 발생한 폭력사태 및 강제토지수용에 항의하는 온라인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의 NGO들은 한국과 인도 NGO들과 함께 자국의 연기금이 인권침해와 환경파괴 논란을 겪고 있는 포스코에 투자해서는 안된다며 투자 철회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국제민주연대’에 따르면, 지난 3월 19일 네덜란드 연락사무소는 한국과 네덜란드, 노르웨이 연락사무소가 공동으로 조사단을 인도 현지에 파견하자고 제안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고, 국제적인 인권단체 네트워크인 ESCR-NET도 워렌버핏을 비롯한 주주들에게 오디사주 프로젝트와 관련된 인권침해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편지를 발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도 현지에선 어떤 일이 벌어졌기에··· 인도 오디사주 제철소 건설계획과 관련하여 포스코측은 주민들의 인권 탄압과 포스코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인도 당국과 제철소 건설 계약을 체결했고, 인도 당국이 주민들을 소개(疏開)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국제 규범은 이러한 경우에도 포스코가 연루(連累:complicity)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다수의 의견이다. 적어도 직접 연류는 아니라 하더라도 이득 내지 수익으로 간접 연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인도 현지의 여러 보도에 따르면, 인도 오디사주 주민들은 2008년 3월과 2010년 2월 그리고, 2012년 2월에 각각 인도에서 주민총회인 그람사바(Gram Sabhas)를 개최하여 포스코 프로젝트 거부를 확인하기도 하였다. 포스코 제철소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시위 모습 인도 주민들이 포스코 제철소를 반대하는 이유는 주민들의 생존권이 크게 위협받기 때문이다. 이 프로젝트로 인해, 2만2000명이 이주를 해야 하는데, 이들은 농업과 어업 및 삼림채취를 통해 안정적인 삶을 영위해온 사람들이다. 현재 인도 당국과 포스코의 계획에 의하면 이들에 대한 제대로 된 보상정책이 거의 없는 실정이고 이것이 주민들의 격렬한 저항을 불러일으켰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 파괴 문제도 심각하다. 제철소가 세워지는 지역은 해변의 모래구릉지역으로 이 지역은 매년 찾아오는 태풍으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는 자연방벽 역할을 해왔는데, 제철소 건설로 모래구릉지역이 없어지면 태풍피해가 급증하게 되고, 식수, 농업용수 등 수자원 고갈과 바다의 생태계 파괴도 심각하게 우려된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지난 7년간 비교적 평화적으로 반대 시위를 해왔는데, 최근 들어 경찰이 폭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주장도 있다. 현재, 주민들에게 1500건이 넘는 영장이 발부됨에 따라, 주민들은 치료를 받고 싶어도 체포에 대한 두려움으로 마을 밖으로 나가지 못해 고립되고 있고, 최근 폭탄 사망사고에서 나타났듯이 포스코 프로젝트에 찬성하는 세력들은 끊임없이 반대 주민들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이렇다 할 책임이 없다면 지금처럼 미온적인 대응이 통할 수 있겠지만, 국제규범이 정한 원칙에 비추어 문제가 있다면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적극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을 규정한 ISO26000(사회책임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포스코는 인도 오디사주 문제에 연루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ISO26000은 기업을 포함하여 모든 조직들이 지켜야 할 과제를 7개 분야(지배구조, 인권, 노동, 환경, 소비자, 공정운영관행, 지역사회참여발전)에 걸쳐 규정하고 있다. 이 지침에 따르면, 현지 주민들을 적절한 수준의 대책 없이 몰아내는 것은 인권측면은 물론 지역사회의 주인인 원주민으로서의 권리보호에도 반한다. ISO26000 표준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규명하고, 그들과 소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히고 있는데, 이번 인도 오디사주 사례는 이러한 원칙과 권고사항이 전혀 반영되지 목하고 있다. 최근 UN은 기업과 인권에 관한 이행지침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기업은 인권을 존중할 책임이 있다. OECD 가입국가인 한국기업으로서 포스코는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을 존중해야 한다. 포스코는 또한 UN 글로벌컴팩트에도 가입했는데, 이 역시 포스코가 인권을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한 것이다. 인도 국내법에서 보더라도 이미 2008년부터 2012년에 이르기까지 인도 정부의 여러 위원회와 국가환경재판소(National Green Tribunal)는 이 프로젝트가 주민들의 동의를 충분히 얻지 못했고, 환경영향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한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포스코는 이 프로젝트가 인도 정부로부터 법적 정당성을 획득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주민들의 생존권 문제는 머리를 맞대고 함께 해결해야 한다. 인도 정부와 포스코는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인도 오리사주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합리적이고 지혜로운 사회적 응답(responsive)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 [출처] http://kor.theasian.asia/archives/75112
1
...
3
4
5
6
7
Title+Body
Title
Author
All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76-11 | 02-754-7892 |
asiaraonatti@gmail.com
| 2025 한국 YMCA 전국연맹
오시는 길